본문 바로가기
▶ Note/○ 끄적노트

여수 14연대 반란사건

by 빨간꿈 2012. 5. 29.

 

 

여순사건, 여순반란사건, 여수 14연대 반란사건, 여순봉기, 여순항쟁, 여순군란이라고도 부른다. 제주4·3사건과 함께 해방정국의 소용돌이 속에서 좌익과 우익의 대립으로 빚어진 민족사의 비극적 사건이다. 이승만 정부는 이 사건을 계기로 국가보안법을 제정하고 강력한 반공국가를 구축하였다. 흔히 여순반란사건이라고 하였으나 해당 지역 주민들이 반란의 주체라고 오인할 소지가 있다고 하여 1995년부터는 '여수·순천사건' 또는 '여수·순천 10·19사건'이라고 사용한다.

 





 

<< 여순사건의 배경 >>

1948년 8월 15일, 이승만을 수반으로 하는 제1공화국이 출범하였다. 그러나 이승만 정권은 친일관료와 우익 청년단체들을 중심으로 한 협소한 지지기반과 이후 각료선임과정에서 한민당과의 갈등, 좌익세력의 격력한 저항, 심화되는 민생문제 등으로 출범 직후부터 휘청거리고 있었다. 한편 공산주의자 들은 2ㆍ7구국투쟁, 제주 4ㆍ3민중항쟁, 5ㆍ10단독선거 반대투쟁 등의 좌절을 겪으면서 새로운 투쟁을 모색하고 있었다.

이러한 당시의 일반적인 정세 속에서 여수ㆍ순천ㆍ여천ㆍ승주ㆍ보성ㆍ구례ㆍ광양ㆍ곡성ㆍ고흥 등 전남 동부지역은 해방 후 인민위원회가 온건하였고, 1948년 초까지도 도내 다른 지방에 비해 좌우익이 어느정도 공존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5ㆍ10단독선거 저지투쟁'과정에서 나타난 군중들의 투쟁의 파고가 그 밖의 다른 지역보다 그다지 높지 않았던 까닭에 해방 이후 인민위원회와 그와 연관된 조직이 파괴되지 않고 계속 온존할 수 있었다.


그러나 5ㆍ10선거 직전 학생들의 동맹휴학은 다른 지방에 비해 매우 조직적으고 광범위한 참여 양상을 보였다. 이 당시 여수 중학생들의 동맹휴학은 여순사건 폭발 시 봉기군인들과 가장 밀접하게 연결을 맺은 집단이 학생이었다는 사실과 결코 무관하지 않다.


즉 1948년 전반기의 정치투쟁과정에서 여순 지역은 전남도내 다른 지방에 비해 온건좌익과 동조세력이 광범위하게 존재하고 있었으나 상대적으로 남로당의 입김은 미약했다. 하지만 이 지역은 5ㆍ10선거 후 남로당이 7월 15일부터 실시한 '지하선거'와 9월 이후부터 본격화된 '인공기 게양투쟁'과 '미소 양군 철수 요구투쟁'을 통해 상대적으로 급진화되었던 것이다.

한편 1948년 5월 초, 확군작업의 일환으로 광주의 국방경비대 제4연대 1대대를 근간으로 한 여수 제14연대가 창설되었다. 이 부대의 창설은 여순사건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진다. 그 이유는 첫째, 기간요원 가운데 여순사건의 주모자인 지창수 상사(인사계)를 비롯하여 김지회 중위(대전차포 중대장), 홍순석 중위(순천 주둔 중대장) 등 좌익계 간부들이 연대 내에 다수 포진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둘째, 사병의 모병작업이 전남 일원의 청년들을 대상으로 철저한 신원조회 없이 실시됐던 까닭에 경찰의 수배를 받느느 좌익계열이 다수 입대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결국 14연대는 전남 지방 좌익들의 은둔처로 변했고 좌익의 선동에 쉽게 동조할 수 있는 계층 출신의 사병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요컨대 당시의 상황은 이승만 정권이 불안정하게 출범한 가운데 좌익세력이 단선단정 반대투쟁의 좌절 속에서 새로운 돌파구를 모색하고자 하는 상황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여순 지역 좌익들의 조직보존과 학생들의 상대적인 급진화, 그리고 결정적으로 14연대의 여수 주둔 등은 여순사건을 발발케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 사건의 발발과 확산 >>

1948년 제주 4ㆍ3 민중항쟁 발발 이후 10월에 들어서면서 제주도의 유격대는 재차 공세를 강화하면서 각처에서 토벌대를 위협했으며, 이에 대해 이승만 정군은 계속적인 병력투입으로 그 위협을 극복하려 했다. 이런 와중에서 갑자기 10월 15일경, 국방경비대 사령부로부터 제14연대에 10월 19일 오후 8시를 기해 1개 대대를 제주도로 출동시키라는 명령이 떨어졌다. 갑작스런 제주도 출동명령은 제 14연대내 좌익계 사병들에게 동족상잔과 반란 중 양자택일을 강요하는 결과를 낳았다.


10월 19일 밤, 제주도로 출발하는 해군 상륙정에 몸을 실어야 하는 순간, 이 연대의 좌익 세포 책임자 지창수 상사 등 핵심 세포 40여 명은 무기고와 탄약고를 점령하고 비상나팔을 불었다. 1대대 사병전원이 연병장에 집결한 가운데 지창수는 '동족상잔의 제주도 출동 반대, 경찰타도' 그리고 '남북통일을 위해 민중의 군대로 행동할 것'을 호소하였고, 대다수 사병들이 이에 적극 동조하였다. 이리하여 출동부대는 반란군으로 돌변하였고, 여기에 나머지 2개 대대도 합류하여 반란군은 2천5백여 명으로 불어났다. 그들은 곧이어 인민군 편성을 마치고 그 날 밤 11시 30분경 여수 읍내로 진격하였다.

20일 새벽 1시 20분경 여수 읍내로 진입한 반란군은 읍내 좌익단체와 학생단체원 6백여 명에게 무기를 지급하였고, 이들 반란군과 좌익청년들은 오전 3시경 여수경찰서를 접수하고 5시경 여수 읍내 각 관공서와 중요기관을 점거하여 날이 밝아오기 전에 이미 여수읍은 그들 치하에 들어갔다. 이어 10시경부터 보안서와 인민위원회를 구성하고 좌익청년들의 주도 아래 피신한 경찰, 우익 주요인사와 청년단원들을 색출하기 시작했다.


여수를 점령한 반란군 가운데 2천여 명이 당일 오전 열차와 차량을 이용하여 순천으로 향했다. 한편 20일 새벽의 상황을 무선으로 접한 순천경찰은 인접 군 경찰병력의 지원을 받아 반란군의 공격에 대비하였다. 이 지역은 여순사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홍순석 중위를 중심으로 하는 제14연대 2개 중대와 20일 새벽 광주에서 파견된 제4연대 1개 중대 병력이 방위하고 있었다.


그러나 오전 9시 30분경 반란군 선발부대 7백여 명이 기차로 도착하자, 이 지역에 주둔하고 있던 제14연대 2개 중대가 반란군에 전격합류하여 함께 순천읍을 공격하였다. 이내 제4연대 1개 중대도 사병들이 폭동을 일으켜 반란군에 합류하여 12시경 순천읍을 포위하였다. 한편 순천읍을 방어하던 군이 반란군에 합류한 가운데 경찰은 속수무책으로 피신하는 데 급급하였고, 오후 3시경 순천은 반란군에게 완전히 점령당했다. 순천이 점령되자 좌익 학생과 노동자들에게 무기가 지급되었고 그들은 경찰과 우익들을 색출하는 데 앞장 섰다.




<< 여순사건의 진압 >>

여순사건에 접한 이승만 정권은 10월 21일 반군토벌 총사령관에 송호성 준장을 임명하고 총 10개 대대의 병력을 동원하여 반란군을 포위하고 여순 일원에 계엄령을 선포했다.

진압작전의 1단계는 순천을 탈환하는 것이었다. 진압군은 23일 아침 7시 81밀리 박격포 사격과 L-4정찰기의 공중지원을 받으며 장갑차 부대를 선두로 총공격을 개시했다. 진압군의 총공격으로 김지회등 반란군의 주력은 광양 방면과 인근 산악 지대로 후퇴했으며, 읍내는 경무장한 좌익청년과 학생들이 치열한 시가전으로 맞서고 있었다. 결국 처참한 살육전이 전개되는 가운데 오전 11시경 순천은 진압군에게 점령되었다.


제2단계 진압작전은 광양 방면의 봉기군 주력을 섬멸하는 것과 여수를 탈환하는 것이었는데, 여수 진압작전은 24일 여수만을 포위한 상태에서 개시되었다. 이 때 여수의 초입인 미평 근처에서 매복중이던 봉기군의 기습으로 전투를 진두지휘하던 반군토벌 사령관 송호성 준장이 철모에 총탄을 맞고 장갑차에서 떨어졌다. 그는 고막이 터지고 허리를 다치는 중상을 입었다. 이 매복 기습으로 3연대 병력 270명이 사망하는 사태가 발생하였다. 이 틈에 반란군의 주력 일부는 벌교와 지리산 방면으로 탈출하는 데 성공하였다.

이런 가운데 여수 시내는 14연대 반란군 2백여 명과 약 천 명의 청년학생에 의해 방어되고 있었다. 25일 진압부대가 장갑차를 앞세우고 시가지에 박격포 사격을 퍼부으며 연 이틀 공격을 계속하였고, 이에 대항한 저항세력은 시가전의 와중에서 다수의 희생자를 낳았다. 진압군은 27일 오후에야 여수를 완전 점령할 수 있었다. 진압된 여수 시내에는 희생된 반란군과 청년 학생의 시체가 즐비했고, 무자비한 박격포 사격으로 대형 화재들이 발생하여 시내가 잿더미로 변해버렸다. 진압군의 여수 점령을 마지막으로 여순 봉기는 일단 매듭 지어졌고, 경찰과 공공기관이 업무를 재개하였다.


한편 여순 지역을 평정한 정부는 여순 지역에 계엄령을 내린 후 가정 먼저 봉기군과 동조자를 철저하게 색출, 처벌하는 작업에 나섰다. 진압군의 가혹한 처벌정책은 동족에 대한 아량이나 연민의 정은 고사하고 최소한의 인정도 찾아볼 수 없었다. 즉 누가 부역자인지 판단의 객관적 근거가 부재한 상태에서 경찰, 우익인사, 청년단원 등 봉기군 치하에서 가장 피해를 본 세력들에 의해 민간인 참여자의 색출작업이 진행되었고, 그것은 보복 테러와 무차별적인 학살로 귀결되었다. 무고한 청년들이 단지 학생복을 입은 죄, 흰 운동화를 신은 죄, 국방색 런닝 셔츠를 입은죄, 머리를 짧게 깎은 죄, 과거에 좌익단체에 가입한 적이 있다는 죄, 가족과 친구 가운데 좌익에 가담한 사람이 있다는 죄 아닌 죄로 젊음을 마감해야 했다.

11월 말, 봉기로 인한 사상자에 대한 정부의 공식적인 통계에 의하면, 진압군측 군인 141명이 사망하고 263명이 실종되었으며, 391명이 봉기군에 합류했다. 한편 봉기군측에서는 821명이 사망하고 2,860명이 사로잡혔다. 민간인 사상자에 대한 총계는 찾아볼 수 없지만, 순천에서만 5백여 명이 사망한 것을 볼 때 여수에서는 이보다 더 많은 수가 사망했을 것이다. 또한 1,714명의 봉기 참여자들이 군사재판에 회부되었으며, 여기에서 866명이 사형을 선고받았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