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들은 또 금연구역 지정 및 운영이 획일적인 탁상행정이라고 비판했다. 강남대로 자체는 금연구역이지만 인근 골목과 횡단보도 등은 금연구역이 아니기 때문이다. 한 30대 여성은 “골목에서 피우는 담배 연기가 대로까지 다 흘러나온다”며 “금연을 하자는 게 아니라 상징적인 홍보효과만 노린 것 같다”고 말했다. 서울시에서 지난해 버스전용차로상의 정류장은 금연구역으로 지정했으므로 횡단보도는 단속의 사각지대인 셈이다.
서초구청 직원 40여 명은 이날 오전 11시부터 지하철역 입구 등 강남대로 곳곳에서 시민들을 상대로 홍보활동을 벌였다. 서초구 쪽 강남대로 바닥에는 금연 표시가 된 스티커가 붙어 있었다. 가로등마다 ‘금연거리’라고 쓴 현수막도 걸려 있었다. 흡연자들은 단속 대상이 아닌 뒷골목이나 역삼동 쪽으로 몰렸다. 이따금 대로를 걸으며 담배를 피우던 시민들은 서초구청 직원의 안내를 받고 머쓱해하며 담뱃불을 껐다. 대부분의 시민은 하루 유동인구가 11만 명에 달하는 강남대로의 금연 을 반기는 분위기였다.
서초구청은 3개월간 홍보를 거쳐 6월부터 매일 오전 9시~오후 2시, 오후 4~8시까지 과태료를 부과할 계획이다. 하지만 대학생 최지훈(31)씨는 “강남은 밤이 될수록 사람이 몰리고, 술을 마시고 담배 피우는 사람들도 늘어나는데 오전·오후시간대만 단속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댓글 영역
미흡하더라도 법이 있어야 책임을 물을 수도 있지. 피우는 사람 입장에서도 점점 붋편해질것이다